교육 이론

학습 유형: 탐구학습, 자기주도학습, 자원기반학습

슈니첼 2023. 4. 14. 15:15
반응형

탐구학습

탐구학습은 과학 교과에서 자주 쓰는 수업모형이다. 지적 호기심을 위한 탐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배운다. 지적 호기심은 학습자로부터 나오기 때문에 이 수업방법도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환경이 요구된다. 자신의 호기심으로 어떤 가설을 먼저 세운다. 이거는 이럴 것이다라고 예측을 한 다음 맞는지 아닌지 데이터를 수집해 검증한다. 이후 자료를 근거로 내 가설은 맞다, 아니다를 결론 내린다.

하지만 학습자가 먼저 문제인식을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보통은 교수자가 수업 주제에 맞는 문제를 제시한다. 문제를 인식했으면 이후 가설은 학습자가 세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어떤 자료를 어디에, 누구에게서 얻을 것인지에 관한 계획을 세우는 활동을 실험설계라고 한다. 계획에 맞춰 현장에서 데이터를 구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실험 수행을 거치고 나면 내용을 정리해서 결론을 도출한다.

탐구학습에서 가장 기본적으로는 학습자가 스스로 추구하고 싶은 호기심과 흥미가 최우선이 된다. 학습자 스스로 문제 인식을 하지 못한다면 교수자는 학습자의 흥미를 충분히 유발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 실험설계와 수행 과정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로 논리적인 추론을 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탐구학습의 목표이다.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 학습의 핵심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자신이 학습을 계획하고 그에 따라 학습하는 것이다. 혼자 학습하는 것이 전부 자기주도학습인 것은 아니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갖느냐가 중요하다. 목표를 가지고 그 목표를 실행하기 위해 자신의 계획을 짜고 실행해 나가는 학습방식이다.

처음부터 학습목표가 나오기는 어렵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요구를 먼저 진단한다. 학습자가 뭘 하고 싶은지,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성적이 얼마가 되어야 하는데 내 현재 성적은 어떤지 확인한다. 그럼 이루어야 하는 성적과 현재 성적 사이의 틈을 메꾸기 위해 어떤 목표가 필요한지 생각해본다. 목표를 다 세운 뒤에는 이를 지켜야지라고만 하면 막연하다. 구체적은 계획을 학습자가 잡는다.성적을 올리기 위해 누구에게 도움을 받을건지, 어떤 방법으로 배울 것인지 학습지원이나 학습자원을 준비한다. 이에 맞게 시간을 계획하고 학습 전략 선정 후 수행한다.

학습한 이후 결과를 가지고 스스로 목표달성률이 얼마가 되었고 왜 부족했는지, 무엇이 문제였는지 살펴본 뒤 다음 목표를 정할 수 있어야한다. 학습결과도 스스로 환류하는 것이 자기주도학습이다. 이렇게 학습요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지원 준비, 학습전략 선정 및 이행, 학습결과의 평가와 성찰의 단계를 거친다.

자기주도학습이 잘 진행되면 학습 성과에 대한 자기만족이 상당히 높다.학업성취도도 높이고 스스로의 자존감과 자신감도 함께 높아진다.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이끌어간다고 해서 교수자의 역할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학습내용을 정확하게 안내하고 학습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자기주도 학습이 어려운 학습자들에게는 적극적인 개입을 한다. 함께 시간 계획을 짠다거나, 자기 학습을 스스로 모니터링 하도록 도와준다거나 학습을 스스로 평가하려면 어떤식으로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역할 등이다..

자원기반학습

다양하고 풍부한 학습자원을 학습자에게 제공해주고 그 학습자원을 학습자가 스스로 활용해서 학습하도록 유도하는 학습방법이다. 접근할 수 있는 학습 자료들과 정보들이 많아짐에따라 이를 활용해 문제해결력을 키우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만들어졌다. 주로 디지털 학습자원을 활용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스스로 자신의 학습에 관심을 가지고 자원을 활용할 때 효과적이며 평생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독립적인 학습능력을 가지도록 훈련하는 방법이다.

이 자원기반학습도 어떤 주제나 문제를 중심으로 수업하는 것이 좋다. 학습자들에게 과제를 제시하고 필요한 정보를 탐색한 뒤 과제 해결을 위해 정보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 다른 사람들 앞에서 내용을 발표하기 전에 기사 형식으로 할지, 보고서식으로 할지, 홍보자료 형식으로 할지 등 표현 방법도 정한다. 발표한 결과물에 대해 충실한 부분과 부족한 부분을 평가하고 마무리된다. 교과에서 과제를 하는 과정들 대부분이 이 자원기반 학습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