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소리와 음성으로 이뤄진 청각정보, 글자나 그림으로 이뤄진 시각정보가 있다. 두 정보가 우리 머릿속에 들어왔을 때 저절로 통합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기존에 알고 있던 장기기억 속 선수지식이 영향을 미치면서 통합되어 정보처리가 일어난다. 이렇게 두 가지 정보인 시각과 청각으로 정보처리가 일어난다는 것을 이중부호화 이론이라고 한다.
하지만 사람의 작업 기억 용량은 한계가 있어서 멀티미디어로부터 많은 정보가 들어오면 현재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게 되고 과부하가 된다. 하지만 학습을 위해, 머리 속에 기억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들이 필요한데 이는 필요한 인지 부하이다. 학습을 잘 하기 위해 머리를 쓰고, 노력을 하고, 집중을 하는 부분은 있어야 한다.
불필요한 인지부하도 있다. 똑같은 내용을 수업하더라도 간단하게 학습 자료를 만들어서 수업하는 것에 비해 텍스트가 많고 잡다한 이야기가 많은 자료는 이해하기가 힘들고 복잡하게 느껴진다. 이것이 불필요한 인지부하이다.
;
따라서 필요한 인지 부하는 촉진하되 불필요한 인지 부하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교수 매체를 활용해야 한다. 단기 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가기 위한 스키마 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부하를 본질적 인지부하라고 한다.학습을 하면서 학습하는 내용의 콘텐츠 자체가 가지고 있는 난이도가 내재적 인지부하이다.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 내용보다 6학년 수학 교과 내용이 내재적 인지부하를 더 많이 일으킨다.불필요한 인지부하는 외생적 인지부하라고 부르며 교수 매체나 수업자료를 잘 못 만든 경우, 교수 매체를 부적절하게 만든 경우 발생한다.
외생적 인지부하 감소방법
1) 근접성의 원리: 수업자료를 만들 때 이미지와 내용을 가까이 붙여서 만든다.
2) 양식의 원리: 같은 정보여도 시각 채널과 청각 채널로 나누어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3) 중복의 원리: 시각 정보로 주어지고 있는 정보를 청각으로 똑같이 읽어줄 필요가 없다.
4) 일관성의 원리: 학습과 관련 없는 추가 정보는 제외해야 한다<span.
본질적 인지부화 촉진방법
1) 개인화의 원리
학습 내용을 나와 관련되도록 한다. 수업 중에 이름을 부른다거나 학습자들이 관심 있는 경험, 필요한 것들, 목적으로 하는 것, 친숙한 것들을 끌어와서 수업 내용을 조직한다.
2) 자기설명 및 인지리허설 원리
학습 시 알고 있는 것을 설명하면서 공부하는 방법이다. 공부한 내용을 거울 보고 설명하거나 다른 사람을 앉혀놓고 설명해주는 것이다.
내재적 인지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
1) 완성된 예제 활용하기
다른 사람은 어떻게 했는지 사례들을 소개한다. 하지만 항상 전부를 보여주는 것 보다는 조금씩 일부만 보여구조 사례의 정도를 줄여가서 학습자 스스로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2)사전훈련 기법
배워야하는 내용의 일부를 먼저 학습한 다음 전체적을 학습하면 훨씬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교육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지도안 양식 (0) | 2023.05.06 |
---|---|
수업지도안 작성 방법 (0) | 2023.05.05 |
동기증진을 위한 수업 전략: Keller의 동기설계모형(ARCS) (0) | 2023.04.24 |
인지적 도제 이론과 인지적 유연성 이론 (0) | 2023.04.21 |
학습 유형: 탐구학습, 자기주도학습, 자원기반학습 (0) | 202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