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ention
학습자들은 먼저 주의 집중이 잘 되어야 학습동기가 촉진되고 증진된다. 선생님이 수업 도중 칠판을 친다거나 종을 친다거나 하는 행동들이 주의를 끌기 위해서다. 일단 주의가 끌어져야 동기가 증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의식적으로 어? 이게 뭐지? 싶어서 끌어지는 주의환기를 의미한다. 이런 지각적 주의환기 뿐 아니라 탐구적 주의환기도 있다. 어떤 호기심을 유발하거나 왜 이런지 궁금하도록 지적갈등이 일어나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이나 수업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을 평소와 조금 다르게 시도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며 다양성 전략이라 일컫는다.
Relevance
목적과 필요성에 부합하거나 관련있는 것이 주어지면 동기가 촉진된다. 수업 내용에 익숙한 예를 들거나 학습자가 선호하는 주제와 관련지어 이야기 하는 방법이다.
Confidence
수업 중 성공의 기회를 제시해 자신감을 갖게 한다. 선생님의 질문에 대해 학생이 대답했을 때 바로 틀렸다고 잘라버리면 학생들은 주늑들게 된다. 쉬운 문제부터 질문하고 칭찬도 함께 해야한다. 조금씩 반복해서 성공의 기회를 계속 제공하면 학습자들은 자신감이 증진된다. 어려운 문제도 아직 어려서 못한다. 잘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라고 말하기 보다는 이런 조건, 저런 조건을 분명히 하고 어떤 학습을 하고 나면 잘 할 수 있는 문제라고 얘기해준다. 평가 요소도 두루뭉술하게 어떤 방식으로 볼거라고 말해주기 보다는 평가 요소 중에 구체적으로 어떤 점들을 볼건지를 말해주면 학습자는 잘 준비하면 평가를 잘 받을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긴다. 또한 과제를 낼 때에도 학습자가 잘할 수 있는 요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자신감을 제공할 수 있다.
Satisfaction
수업에서 배운 내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면 만족감이 높다. 그리고 누구든지 열심히 하면 좋은 결과를 받을 수 있다고 할 때 만족감이 생긴다. 평가를 받을 때도 공정해야 만족감이 있다. 협력학습에서는 기여도에 따라 점수 차등을 두는 것이 만족감 증진에 도움된다.
'교육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지도안 작성 방법 (0) | 2023.05.05 |
---|---|
멀티미디어를 교육에서 활용하기 위한 인지부하이론 (0) | 2023.04.28 |
인지적 도제 이론과 인지적 유연성 이론 (0) | 2023.04.21 |
학습 유형: 탐구학습, 자기주도학습, 자원기반학습 (0) | 2023.04.14 |
수업모형 - 문제중심학습(PBL), 상황정착수업, 목표 기반 시나리오 (1)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