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글 목록 모두보기 50

가설검정과 대응 비교 예제

모비율에 대한 추론 모집단에서 어떤 특성을 가지는 집단의 비율을 p라고 한다. 모집단에서 임의 추출한 n개의 표본 중에서 어떤 특성을 가지는 개체 수의 확률분포는 시행횟수가 n, 성공확률이 p인 이항분포가 된다. 예를 들어 전체 직원 중 워크샵을 제주도로 가고싶어하는 사람의 비율을 p라고 한다. 조사해보니 전체 직원 250명 중 제주도에 가고 싶어하는 사람은 70명이었다. 그러면 모비율 p에 대한 추정량은 표본 비율로서 70/250 이 되고 값은 0.028이다. 안타율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알고자 하고, 500 쳐서 41번 안타를 쳤다고 한다. 표본비율은 41/500 이기 때문에 0.082 이다. 0.082±1.96x루트(0.082x(1-0.082))/500을 계산하면 0.058과 0.106 사이가 ..

교육 이론 2023.06.02

트니트니 2023 봄학기 수업 내용: 용산 아이파크 문화센터

수업 회차: 12회차 수강료: 14만원 + 재료비 4만원 교구 3개 제공, 수업 끝날 때마다 그날 주제를 담은 도장을 찍어주심 1년(4학기)을 다니면 수료증을 증정함 보호자 1명, 아동 1명이 함께 참여 27개월 1) 색깔: 색 터널 지나가기, 무지개 만들기, 색연필로 과일 따기 2) 한식: 가래떡 뽑기, 컨베이어 벨트에 가래떡 넣어서 떡국으로 만들기, 꼬지전 만들기, 꿀떡 만들기 3) 자동차: 자동차 바퀴 조립해서 움직이기, 경사면에 자동차 흘려보내기, 자동차에 핸들껴서 움직이기, 면허증 발급 4) 수박: 자석으로 수박 조각 뽑기, 세모 네모 하트 모양 수박 통채로 당겨서 뽑기, 수박 탱탱볼 수레에 담아 오두막으로 운반하기 28개월 5) 할머니 할아버지 도와드리기: 무거운 짐 들어서 징검다리 건너 운반..

통계적 추론과 가설검정

통계적 추론은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을 이용해 모집단에 대해 알고 싶은 특성을 추측하는 과정을 말한다. 학교에 걸어오는 학생 수를 알고싶다고 했을 때, 모집단은 전교생이고 대표로 A반을 조사한다면 A반 학생들이 표본이다. 모집단을 조사하기는 어려우므로 표본으로부터 정보를 얻고 이를 분석하여 모집단에 대한 결론을 이끌어낸다. 이런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를 모수라고 한다. 통계적 추론은 크게 모수에 대한 추정과 가설검정으로 나눌 수 있다. 모수의 추정은 모수에 대한 추측치를 수치화된 정확도와 함께 제시하는 것이다. 이 추정에는 점추정과 구간추정이 있다. 점추정은 모수를 하나의 값으로 제시하여 추측하는 것이고 구간추정은 모수를 포함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구간을 제시하여 모수를 추측한다. 가설검정은 모수에..

교육 이론 2023.05.26

아기가 뛰어놀기 좋은 벽초지수목원: 유모차 대여 비추

날씨가 좋은 5월이라 야외 활동 할만한 곳을 찾았다. 파주에 있는 벽초지수목원이 예쁘게 잘 꾸며져 있는데다 봄꽃축제를 하고 있다고 해서 가보았다. 주차는 입장하는 곳 바로 앞과 수목원 옆쪽에 하나 더 있다. 둘 다 야외지만 오가는 길에 그늘이 있고 많이 멀지 않다. 어린이 단체, 어르신 단체가 많이 방문했다. 평일이라 그런지 가족단위는 잘 보이지 않았다. 봄꽃축제라고 해서 조금더 왁자지껄하거나 화려한 분위기를 생각했는데, 입구에 있는 큰 화단에만 꽃이 잘 꾸며져 있고 그 외에 구역은 아니었다. 여기저기 꽃이 가득해 꽃에 파묻힐거라 생각했던 기대와는 달랐지만 산속에 들어와 있다고 생각이 들만큼 나무들이 울창했다. 2023년 상반기까지는 부지 절반이 공사 중이라 제대로 보지 못하고, 유아 놀이터가 공사 부지..

자료의 요약: 평균, 중앙값, 최빈값, 변수 간 상관관계

자료를 요약할 때 3가지 방법이 있다. 1) 평균(Mean) 서로 다른 n개의 자료들을 하나의 대푯값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직관적이고 계산이 쉬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푯값이지만 극단적으로 아주 크거나 작은 값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구하는 방법은 값을 모두 더한 다음 값의 개수로 나누는 것이다. 관측값: 1, 2, 3 의 평균: (1+2+3)/3 = 2 2) 중앙값(Median) 자료를 크기 순으로 배열할 때 중앙에 위치하는 값이다. 자료의 수가 홀수이면 정 가운데 순서로 오는 값이고 자료의 수가 짝수이면 가운데 오는 두 값의 평균을 사용한다. 관측값: 1, 2, 3 의 중앙값: 2 관측값: 1, 2, 3, 4 의 중앙값: (2+3)/2 = 2.5 관측값의 순위를 가지고 구하는 값이므..

교육 이론 2023.05.19

데이터의 유형과 시각화 기초: 도수분포표, 히스토그램

데이터는 여러 가지 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변수는 데이터를 수집할 때 측정 결과나 조사 대상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는 하나의 특성이다. 관심있는 변수들을 조사하거나 측정하여 실제 값들을 모은 결과를 데이터라고 한다. 양적변수는 수치형 변수라고 하며 연속형 변수(키, 몸무게)와 이산형 변수(산불 발생 건수)가 있다. 질적변수는 범주형 변수라고 하며 순위형 변수와 명목형 변수가 있다. 순위형 변수는 말 그대로 순위가 있는 자료로서 1등급, 2등급, 3등급 등으로 등급을 나눌 수 있는 데이터이다. 혈액형은 순위의 의미를 따질 수 없는 명목형 변수다. 범주형 자료를 요약할 때는 도수분포표를 활용할 수 있다. 도수는 각 범주에 속하는 관측 값의 개수이고 이를 전체 도수로 나눈 값들을 상대도수라고 한다. ..

교육 이론 2023.05.15

교육학에서의 데이터 과학

교육학에서 데이터는 교육과 관련된 문제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집하는 데이터는 학생들의 학업기록, 결과, 성적, 개인 특성, 관심사 등이다. 학생들의 개인정보는 보호하되 다양한 유형의 학생들을 이해하고 학습 향상을 위한 교육법을 찾기 위해 교육 데이터가 중요해지고 있다. 교육 데이터의 활용 사례 사회-정서적 활용: 학습 동기 유발 요인을 이해 요구사항 모니터링: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해 맞춤형 교육에 활용 교육과정 혁신: 수요에 맞는 학습과정으로 혁신 교사 실적 측정: 교사의 성과 추적 및 모니터링 가능 교육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사이트 NCES http://nces.ed.gov 미국 국립교육통계 센터 PISA http://www.oecd.org/pi..

교육 이론 2023.05.12

29개월 아기 첫 뮤지컬: 누가 내 머리에 똥쌌어?

아직 29개월이지만 연나이로는 4살이다보니 어린이집에서 단체로 뮤지컬을 보러가고는 한다. 하지만 저번에 전쟁기념관 갔을 때 어둡고 큰 대포소리에 놀래서 뒷걸음치는걸 본데다가 낯선 곳은 엄마랑 먼저 경험해야 두려움이 덜 생기지 않을까 싶어 단체 뮤지컬 관람은 참여하지 않았었다. 뮤지컬을 보기엔 아직도 어린 것 같고, 내용을 이해 할 수는 있을지 즐겁게 볼지 여러 걱정이 들었다. 그래도 더 어린 아이들도 뮤지컬을 잘 본다는 후기를 보고 어린이날을 맞아 첫 뮤지컬을 보여주기로 결심했다. 처음에 생각한 뮤지컬을 아무래도 좋아하는 캐릭터가 나오면 반길 것 같아서 아기상어나 타요로 생각했다. 아기상어는 서울 공연이 끝난지 오래였고, 타요는 아차산역까지 가야해서 예매했다가 취소했다. 뮤지컬은 더 커서 볼까 하다가 어..

마이크로 티칭(수업 시연)과 수업 분석

마이크로 티칭: 실제로 수업 시연해보기 수업 설계를 마친 후 실제로 수업을 해보면서 내가 무엇을 잘 하고 무엇을 못하는지 분석해보며 연습하는 것을 마이크로 티칭(Micro Teaching)이라고 한다. 마이크로 티칭의 목적은 수업의 개선이다. 그래서 수업의 일부만을 활용하고, 필요한 연습 항목은 정하기 나름이다. 수업의 도입-전개-정리의 체계가 잘 갖춰져 있는지 확인해 보고 싶다면 각 요소의 일부만 넣어서 15분~20분 정도로 축약해 수업해 보는 것이다. 도입, 전개, 정리를 쪼개서 각 각을 따로 점검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티칭의 방법은 실제로 모의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빈 강의실, PPT가 가능한 어떤 공간에서 수업을 하면서 내 모습을 촬영한다. 촬영한 수업을 관찰한 뒤 장단점을 분석해서 개선 사..

교육 이론 2023.05.08

수업지도안 양식

수업지도안 양식은 이렇게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꼭 이 양식을 따를 필요는 없다. 나를 위해 만드는 것이 수업지도안이기 때문에 나를 위해 필요한 부분을 가감하여 사용한다. 양식1. 수업대상 수업일시 수업장소 수업모델 단원 학습내용 수업단계 교수-학습활동 수업형태/시간 유의점 학습 준비 단계 주의력 획득: 학습목표: 선수학습 내용 회상: 전체인지 모둠인지/분단위 기록 동영상을 제공한다. 미리 판서해 둔다 등 기술정보 획득 단계 자극자료: 학습안내: 수행행동 유도: 피드백: 모둠인원 확인 키트 작동 확인 등 학습 전이 수행평가안내: 내용 정리: 양식2. 대상 일시 장소 수업 주제 차시 수업모형 수업 목표 인지적: 정의적: 수업 매체 교사 학생 단계 학습내용 교수학습활동 소요 시간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활동 ..

교육 이론 2023.05.06